(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시술대상
정자의 운동성, 수, 형태학적 등의 문제가 존재할 경우
항 정자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
척수손상, 사정장애, 역방향 사정 환자의 경우
동결 보존된 정자나 난자를 이용하는 경우
유전질환에 대한 착상 전 유전진단이 필요한 경우
중증의 자궁내막증, 난소기능저하가 있는 경우
미성숙 난자를 수정시키는 경우
이전 체외수정 실시 후 수정 실패하였거나 수정률이 낮았던 경우
이전 체외수정 시술 후 2회 이상의 반복 임신 실패한 경우
(Physiological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PICSI)
시술대상
체외수정 시술 후 자연유산이 2회 이상인 경우
미세수정을 하였으나 낮은 수정률, 반복임신 실패 혹은 2회 이상 화학적 임신일 경우
정상적인 형태의 정자가 1% 미만이거나 정자 운동성에 따라 10% 혹은 20% 이하인 경우
(Time-lapse System; Geri Plus)
시술대상
반복 임신 실패 혹은 2회 이상의 화학적 임신을 경험한 경우
단일 배아이식을 예정할 경우
지속적인 배아 관찰이 필요하다는 의학적 소견이 있는 경우
(Laser Assisted Hatching, LAH)
시술대상
40세 이상의 여성
투명대의 비정형 모양 및 ≥15µm 두께를 가진 경우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수치가 ≥12인 경우
동결한 분열기 배아를 해동 후 이식하는 경우
2회 이상 착상 실패한 경우
(Micro-Vibration Culture, MVC)
시술대상
난소저반응군으로 첫 시술 시 난자 개수 3개 이하 또는 과거력이 있는 경우
5개 이하의 난자가 채취된 경우
미성숙 난자가 70% 이상 나온 경우
난자 성숙이 70% 이상 실패한 경우
배아 발달이 심하게 늦거나 발달이 정지된 경우
(Oocyte Activation, OA)
시술대상
채취된 난자 모두 미성숙일 경우
70% 이상 수정되지 않은 경우
정자 운동성이 없는 경우
수정 실패 혹은 수정률 저하를 보인 경우
배아 발달이 비정상적이거나 배아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
(sperm activation, SA)
시술대상
사정된 정액에서 운동성 있는 정자가 관찰되지 않을 경우
(In-vitro Maturation, IVM)
시술대상
난소과자극증후군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
체외수정 시술 시 미성숙 난자가 채취될 경우
생리주기가 불규칙한 경우
(Preimplantation Genetic Testing, PGT)
시술대상
염색체 이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령의 환자
염색체 이상 소견이 있는 환자
염색체 이상에 대한 가족력이 있는 경우
습관성 유산이나 반복적으로 착상을 실패한 경우
(Autologous Cumulus cell Mass Co-culture, ACC)
시술대상
원인불명의 착상실패
(Personized Embryo Transfer)
시술대상
체외수정시술 중인 배아 이식 환자
(Embryo Glue)
시술대상
반복적 착상실패
(Cryopreservation of gamete and embryo)
시술대상
생식세포의 가임력 보존이 필요한 경우 (난자/정자)
시술 당일 난자 채취 후 갑작스런 사유로 남편이 내원을 못할 경우 (난자)
사정장애가 있어 시술당일 정액 채취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정자)
잦은 출장이나 해외 근무로 시술 당일 내원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정자)
난소과자극 증후군으로 해당 주기 이식이 불가능할 경우 (배아)
난소저반응 환자가 배아를 모아 이식을 원할 경우 (배아)
(Testicular Sperm Aspiration, TESA)
시술대상
무정자증 환자의 경우
사정된 정액 내에 시술에 이용 가능한 정자가 없는 경우
사정장애로 정액채취가 어려운 경우
(Retrograde Ejaculation)
시술대상
역행성 사정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