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OPEN MENU OPEN MENU

연구소에서 하는 일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미세유리관을 통해 정자를 난자의 세포질 내로 직접 주입해 수정을 유도하는 미세조작술입니다.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은 고도로 숙련된 연구원에 의해서만 실시할 수 있는 보조생식술입니다. .

시술대상

정자의 운동성, 수, 형태학적 등의 문제가 존재할 경우
항 정자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
척수손상, 사정장애, 역방향 사정 환자의 경우
동결 보존된 정자나 난자를 이용하는 경우
유전질환에 대한 착상 전 유전진단이 필요한 경우
중증의 자궁내막증, 난소기능저하가 있는 경우
미성숙 난자를 수정시키는 경우
이전 체외수정 실시 후 수정 실패하였거나 수정률이 낮았던 경우
이전 체외수정 시술 후 2회 이상의 반복 임신 실패한 경우

성숙정자 선별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

(Physiological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PICSI)

성숙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정자는 성숙한 정자에 비하여 수정능력이 떨어지고 수정 이후 배아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하이알루로난 (hyaluronan)이라는 물질이 코팅된 특수한 배양접시에서 성숙정자만 골라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 (ICSI)을 이용하여 수정을 유도하는 시술입니다. 수정 시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 (ICSI)로도 수정율이 떨어지는 경우 사용 함으로써 수정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반복된 임신실패나 유산이 있는 경우 실시할 수 있는 보조생식술입니다.

시술대상

체외수정 시술 후 자연유산이 2회 이상인 경우
미세수정을 하였으나 낮은 수정률, 반복임신 실패 혹은 2회 이상 화학적 임신일 경우
정상적인 형태의 정자가 1% 미만이거나 정자 운동성에 따라 10% 혹은 20% 이하인 경우

배아관찰경
(실시간 배아관찰 시스템)

(Time-lapse System; Geri Plus)

실시간 배아관찰 시스템은 배아를 배양기 밖으로 꺼내지 않고 세포분열과정을 고해상도 영상 정보로 기록하면서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발달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고가의 장비로 외부와의 접촉에 의한 환경 변화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배아를 보다 안정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배양 중인 배아들 중 임신 가능성이 높은 배아를 선별 해 주는 첨단 시스템입니다.

시술대상

반복 임신 실패 혹은 2회 이상의 화학적 임신을 경험한 경우
단일 배아이식을 예정할 경우
지속적인 배아 관찰이 필요하다는 의학적 소견이 있는 경우

레이저 보조부화술

(Laser Assisted Hatching, LAH)

배아는 착상 전 투명대를 벗어나는 ‘부화 (hatching)’라는 과정을 거치는데 투명대가 두껍거나 경화가 일어난 배아는 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초정밀 레이저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투명대 일부를 절개하는 보조부화술을 통하여 착상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시술방법입니다.

시술대상

40세 이상의 여성
투명대의 비정형 모양 및 ≥15µm 두께를 가진 경우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수치가 ≥12인 경우
동결한 분열기 배아를 해동 후 이식하는 경우
2회 이상 착상 실패한 경우

미세진동 배양을
통한 배아활성화

(Micro-Vibration Culture, MVC)

자연임신 중 배아는 모체의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끊임없는 자극을 통하여 활성을 얻으며 성장하게 됩니다. 체외수정 시술의 배양 단계에서 정밀 프로그래밍된 미세진동기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배아에 진동을 줌으로써 자궁과 비슷한 환경을 조성해 주고, 이를 통해 배아의 활성을 높여 발달에 도움을 주는 배양 방법입니다.

시술대상

난소저반응군으로 첫 시술 시 난자 개수 3개 이하 또는 과거력이 있는 경우
     5개 이하의 난자가 채취된 경우

미성숙 난자가 70% 이상 나온 경우
난자 성숙이 70% 이상 실패한 경우
배아 발달이 심하게 늦거나 발달이 정지된 경우

난자 활성화

(Oocyte Activation, OA)

이전 체외수정 시술에서 정상적인 정자를 이용하여 수정을 시도하였음에도 수정 실패 혹은 수정률 저하를 보인 경우 특수한 활성화 물질 (Ca++이나 SrCl2)을 이용하여 난자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수정 및 배아발달에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 이전 시술에서 배아의 발달이 비정상적으로 느리거나 배아의 질이 떨어진 경우에도 난자 활성화를 실시 할 수 있습니다.

시술대상

채취된 난자 모두 미성숙일 경우
70% 이상 수정되지 않은 경우
정자 운동성이 없는 경우
수정 실패 혹은 수정률 저하를 보인 경우
배아 발달이 비정상적이거나 배아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

정자 활성화

(sperm activation, SA)

사정된 정액 내 현미경상으로 움직임이 없는 정자만 관찰되는 경우 펜톡시필린 (pentoxifylline)이라는 특수한 물질을 처리하여 정자의 활력을 높여 수정에 사용할 수 있는 정자를 선별하는 방법입니다.

시술대상

사정된 정액에서 운동성 있는 정자가 관찰되지 않을 경우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 배양

(In-vitro Maturation, IVM)

과배란 주사에 대한 부작용으로 난소과자극증후군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의 경우 과배란 주사를 맞지 않거나 소량만 사용하여 작은 난포에서 미성숙 난자를 채취합니다. 채취된 미성숙 난자를 체외성숙을 위한 특수 배양액을 이용하여 수정 가능한 난자로 성숙시켜 체외수정 시술을 진행하는 배양법입니다. 과배란 주사를 사용하였음에도 미성숙 난자가 채취 되었을 경우에도 사용됩니다.

시술대상

난소과자극증후군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
체외수정 시술 시 미성숙 난자가 채취될 경우
생리주기가 불규칙한 경우

착상 전 유전검사

(Preimplantation Genetic Testing, PGT)

배아를 이식하기 전 염색체 검사를 통하여 정상적인 배아만을 선별해 내는 방법으로 Array-CGH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기법이 통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법이 선호되고 있습니다. 한번의 생검 (biopsy)으로 NGS 또는 array-CGH + NGS 통합 검사를 실시하여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검사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시술대상

염색체 이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령의 환자
염색체 이상 소견이 있는 환자
염색체 이상에 대한 가족력이 있는 경우
습관성 유산이나 반복적으로 착상을 실패한 경우

공배양

(Autologous Cumulus cell Mass Co-culture, ACC)

자가 난구세포 (cumulus cell) 를 배양접시에서 배아와 함께 키워 난구세포로 부터 나오는 여러 전달물질 (cytokine, growth factor등)의 도움으로 배반포 발생률과 세포 수를 증가시켜 배아의 발달 및 착상에 도움을 주는 시술입니다. 화학적 효소를 사용하여 세포를 풀어 준비하는 기존 단층 공배양 (monolayered coculture)과 달리 효소를 사용하지 않고 자가 난구세포 덩이를 직접 공배양 (mass coculture)함으로써 적은 수의 난자가 나와도 공배양이 가능한 아가온의 특화된 공배양법입니다.

시술대상

원인불명의 착상실패

개인 맞춤형 배아 이식

(Personized Embryo Transfer)

정상적으로 발달된 배아의 이식은 임신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예비 엄마와 배아의 상태를 고려하여 분열기 (cleavage stage), 상실기 (morula stage), 배반포기 (blastocyst stage) 이식으로 단계를 나누어 최적의 요건을 갖춘 개인 맞춤형 배아 이식을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시술대상

체외수정시술 중인 배아 이식 환자

착상률 향상을 위한 배아글루

(Embryo Glue)

이식 될 배아를 착상에 필요한 hyaluronan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배양액에 일정시간 배양함으로써 배아 착상에 도움을 줍니다.

시술대상

반복적 착상실패

생식세포 및 배아 동결

(Cryopreservation of gamete and embryo)

난자나 정자를 동결하여 가임력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향 후 임신을 원한 경우 해동하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외수정 시술 후 남은 잔여 배아 중 냉동 가능한 배아를 선별하여 유리화 동결 (vitrification) 후 보존하여 다음 임신 시도 시 과배란이나 난자 채취 없이 자궁 내막을 준비하여 바로 해동 이식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시술대상

생식세포의 가임력 보존이 필요한 경우 (난자/정자)
시술 당일 난자 채취 후 갑작스런 사유로 남편이 내원을 못할 경우 (난자)
사정장애가 있어 시술당일 정액 채취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정자)
잦은 출장이나 해외 근무로 시술 당일 내원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정자)
난소과자극 증후군으로 해당 주기 이식이 불가능할 경우 (배아)
난소저반응 환자가 배아를 모아 이식을 원할 경우 (배아)

고환조직 내 정자 채취

(Testicular Sperm Aspiration, TESA)

사정된 정액 내에서 정자가 관찰되지 않는 폐쇄성 무정자증 남성의 경우 외과적 시술을 통해 고환조직을 추출하고 추출된 조직에서 정자를 회수하여 체외수정에 필요한 정자를 회수합니다. 원내에서 시술이 이루어지고 연구소에서 직접 처리를 하므로 전문적이고 연속적인 시술이 가능하며, 얇은 바늘을 이용하여 소량의 조직을 채취 (Testicular Fine Needle Aspiration, TEFNA)하므로 시술부위의 통증이 적고, 당일 퇴원 및 일상생활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시술대상

무정자증 환자의 경우
사정된 정액 내에 시술에 이용 가능한 정자가 없는 경우
사정장애로 정액채취가 어려운 경우

역행성 사정 정자 처리

(Retrograde Ejaculation)

역행성 사정을 지닌 남성의 경우 정액을 배출 할 때 요도로 배출되지 않고 방광으로 역류 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정액 처리방법과는 다르게 사정 후 소변을 받아 소변에서 정액을 채취, 처리하여 체외수정에 필요한 정자를 회수하는 방법입니다.

시술대상

역행성 사정 환자